그림으로 배워보는 방위각 (3) 편에서 나침반을 이용하여 방위각대로 진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몇차례 독도법 및 오리엔티어링 교육을 시켜보면서 느낀것인데, 그 원리를 이해하면 너무 당연하고 쉬운 것임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외우려니까, 처음에 설명듣고 실습할때는 알것 같다가도
다음에 혼자 해보려고 하면 또 잊어버리는 분이 많은듯 합니다.
이에 이번에는 나침반으로 방위각대로 진행하는 원리를 살펴보는 글을 써봅니다.
1. 스텝 (1) : 250도로 방위각 세팅하기
지난(3)편에서 250도로 아래와 같이 세팅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것의 의미는 주황색눈금판의 검은글씨 N으로부터 각도가 250임을 의미합니다.
빨간 도수지시선은 하늘색으로 그려진 방향지시선과 함께 나침판에서 고정되어 있습니다. 움직이지 않지요.
주황색 눈금판만이 움직입니다. 따라서 특정 방위각( 여기서는 250 )을 빨간색 도수지시선에 맞추는 행위는
바로 주황색 눈금판을 돌림으로써 검정색 글씨 N을 (방향지시선으로부터 특정방위각이 되도록) 움직이는 것입니다.
즉, 방향지시선과 N의 각을 세팅하는 것입니다.

2. 스텝 (2) : 나침판 몸통을 돌려 빨간 자침과 N을 일치시킨다.
지난(3)편에서 스텝1에서 방위각을 세팅한 뒤, 나침판의 몸통을 돌려 빨간 자침과 N ( 야광눈금)을 일치시켰을때 방향지시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진행방향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빨간 자침과 N을 일치시키는 행위는 빨간 자침 ( 자북 ) = N ( 나침반의 북쪽표시) 함으로써
스텝1에서 세팅한 나침반의 각 ( 방향지시화살표와 N )을 빨간 자침(자북선)과 일치시킴으로써, 방향지시화살표가 자북선으로부터의 방위각을 나타내게 하는 것입니다.
오늘 여기까지~ㅋ
